Gate 22 여섯 번의 워킹투어

 

1. 굿네이버스 (2013. 12. 7)
삼각지역 11번 출구 ➔ Gate 15 ➔ 옛 대륭그림회사 자리와 화실골목 ➔ 한미번역사와 삼양오피스 ➔ 줄리스와 아시아 리얼티 ➔ Gate 16 ➔ Gate 17(Camp Kim USO) ➔ 모텔골목 ➔ Gate 18 ➔ 남영동 스테이크골목➔Gate 19(Camp Coiner Visitor Center)

 

2. 봄나들이 (2014. 4. 13)
이촌역 2번 출구 ➔ Gate12 ➔ Gate11 ➔ Gate10 ➔ Gate9 ➔ Gate8 ➔ Gate7 ➔ Gate6 ➔ Gate5

 

3. 같이가입시더! (2014. 6. 21)
신용산역 1번출구  ➔ 용산우체국 ➔ 게이트나인틴거리  ➔  Gate 14 ➔  Heliport  ➔  독수리 ➔  121 후송병원  ➔ Gate 13  ➔용산시티파크  ➔ 옛 동 ➔  남일당과 7통8통

 

4. 땅쇼 (2014. 12. 13)
Gate1 ➔ Gate 4

땅쇼 전 개별걷기 5개의 길:
1. 녹사평, 게이트들
2. USO, 미8군 연예단
3. 스테이크 골목, 한강로 제과 공장들, 미군기지 담벼락 옆동네
4. 이발소그림, 화방
5. 적산가옥

 

5. 왜 이태원인가 (2015. 10. 18)
이태원역 ➔ 소방서골목 ➔ 태평극장 ➔ 이태원글로벌빌리지센터 ➔ 해밀톤호텔 ➔ 선양복점과 하루방기념품가게 ➔ 양스테일러와 국제아케이드 ➔ 녹사평역 육교 ➔ Gate4 ➔ Gate3 ➔ Overpass Bridge ➔ Gate2 ➔ Gate 1

 

6. 내마음 속의 담벼락 (2016. 6. 25)
녹사평역 2번출구 ➔ 공원조성 1단계 임시개방 대상지 ➔  1단계 임시 출입구 (Gate 21) ➔  Navy club ➔  해방촌 정원 ➔  해방교회와 해병대 초대교회 ➔  그 시절 해방촌 ➔ 1단계 공원조성 예정부지와 미대사관 이전 부지 ➔  임시 출입구 (영업을 종료한 영내마트와 Gate 19) ➔  Gate 20 ➔  해병대 기념관 (국가홍보원과 방위사업청내)

20160625_워킹투어세미나:내 마음속의 담벼락

 

6thGate 22 Walking Tour Seminar
내 마음속의 담벼락

새도 날아다니기 힘든 울창한 숲이었다던 곳,
등산하듯 급경사로를 걸으면 한국전쟁의 실향민과 다국적 이주민이 공존하는 삶터 해방촌입니다. 골목길따라 늘어선 화분식물들이 해방촌의 생생한 여름을 알립니다. 다닥다닥 울창한 집들 사이사이로 보이는 용산기지의 담벼락을 따라 걸어봅니다.
우리의 몸과 의식을 식민화하는 장소로서의 용산기지.
2017년 사라지는 담벼락과 새로 생기는 담벼락을 추적합니다.
한국전쟁을 기억하며, 마음속에 천천히 쌓은 담벼락을 이야기하고
직접 채집하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 워킹투어코스:
6호선 녹사평역 2번출구 >  공원조성 1단계 임시개방 대상지 >  1단계 임시 출입구 (Gate 21) >  Navy club >  해방촌 정원 >  해방교회와 해병대 초대교회 >  그 시절 해방촌 > 1단계 공원조성 예정부지와 미대사관 이전 부지 >  임시 출입구 (영업을 종료한 영내마트와 Gate 19) >  Gate 20 >  해병대 기념관 (국가홍보원과 방위사업청내)

● 담벼락 해킹: 담벼락 그리기 사생대회 (19번-20번 게이트 사이)
● 해병대 기념관 방문 (국방홍보원과 방위사업청 내)

01

IMG_4454

IMG_4458

IMG_4464

IMG_4471

IMG_4473

IMG_4474 IMG_4483

IMG_4535

IMG_4525

IMG_4523

IMG_4520

IMG_4518

 

IMG_4510

 

IMG_4508

 

IMG_4506

IMG_4536

IMG_0582

용산공원 시민포럼 발족식/토론회

yongsan용산공원 시민포럼 발족식/토론회에 참여하였습니다.
2016. 6. 2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

용산공원 시민포럼을 발족하며 (용산공원 시민포럼 발족식 자료집 내용 발췌)
용산공원은 서울의 마지막 대규모 공원 부지입니다. 규모나 위치 면에서 도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의 땅이기도 합니다. 구한말부터 일본과 미국 군대가 주둔하고 있던 이 땅이 공공 공간으로 돌아온다는 것은, 우리의 공간 주권을 회복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용산공원이 가져올 일상의 변화를 상상하는 것은 실로 가슴 벅찬 일입니다.

2005 년 정부는 국가주도로 공원화 계획을 발표한 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공원화 계획을 추진해왔습니다.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계획안을 발전시켜왔고, 국제현상공모로 당선된 설계안은 구체적인 설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공원화 일정과 설계 조건에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용산공원은 우리 국민 모두가 누려야 할 자산이기에, 계획 과정에서부터 충분히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작년부터 몇몇 전문가들과 시민단체를 주축으로 용산공원을 시민과 함께 만들고 가꾸어 나가기 위해 포럼 발족을 위한 준비를 하였고, 오늘 비로소 ‘용산공원 시민포럼’을 발족하게 되었습니다.

좋 은 공원은 누가 어떻게 공원을 계획하고 운영·관리하는가, 그리고 이를 통하여 어떠한 가치를 창출해내는가가 관건입니다. 공원을 공공 주도로만 계획하고 운영하는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공공이 시민들과 함께, 다양한 민간 주체와 함께 공원을 계획하는 일에서부터 운영하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한 때입니다. ‘용산공원 시민포럼’은 시민이 주체가 되는 용산공원을 만들기 위해, 열린 토론의 장으로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번 공개토론회는 이러한 첫 시도입니다.

오늘 토론회를 계기로 용산공원의 계획 과정과 활용에 대한 보다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합니다. 앞으로도 ‘용산공원 시민포럼’을 지원해주고, 관심 가져 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용산공원 시민포럼 공동대표 /
김성훈 (천수교 서울대교구 청소년국 국장)
이영범 (경기대학교 교수)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조명래 (단국대학교 교수)

용산공원 시민포럼 운영위원 /
김성홍(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박은실(추계예술대학교 교수)
배정한(서울대학교 교수)
설동근(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이강오(어린이대공원 원장)
이세걸(서울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이승민(천주교 서울대교구 청소년국 부국장)
이원재(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이하나(서울 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
최정한(공간문화센터 대표)
홍서희(게이트 22 대표)